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돈되는 정보

해외체류자 건강보험 급여정지 신청방법 (피부양자, 해외여행)

by 룰루머니 2022. 4. 28.

해외체류자는 출국기간이 1개월 이상인 경우 건강보험료를 면제받거나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해외체류자 건강보험

해외체류자 건강보험 면제 조건

업무목적의 해외체류자의 경우 1개월 이상 해외에 체류하거나 경제 활동이 아닌 이유로 출국한 근로자 및 여행자는 3개월이 넘게 체류할 경우 건강보험료를 감면받을 수 있습니다. 때문에, 장기간 출국 시에는 건강보험료 급여정지 신청을 해야 불필요한 지출을 막을 수 있습니다.

 

  • 업무 목적 해외체류자 : 1개월 이상
  • 경제활동이 아닌 이유로 출국한 자 : 3개월 이상

 

업무 목적으로 1개월 이상 출국 사실을 증빙하여 신청한 가입자
피부양자가 없는 경우 100% 면제
피부양자가 있는 경우 50% 감면

 

업무 목적이 아닌 여행이나 유학 등은 3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출국을 해야 하는데 여기에 입국일과 출국일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매달 1일이 포함된 달의 보험료가 면제되기 때문에 시기를 잘 맞추면 보험료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입국일이 1일인 경우 입국 월부터 부과됨)

여행 및 유학을 목적으로 3개월 이상 출국 한 자
3월 4일 출국 ~ 5월 1일 입국 해당 X
3월 20일 출국 ~ 6월 2일 입국 3월, 4월, 5월, 6월 건강보험료 면제
3월 20일 출국 ~ 6월 1일 입국 3월, 4월, 5월 건강보험료 면제

 

 

해외체류자 건강보험 급여정지 신청방법

 

업무목적 해외체류자 * 신분증
* 여권
* 비행기표
* 해외파견근무확인서
업무목적이 아닌 해외체류자 * 신분증
* 여권
* 비행기표
* 출입국증명원

(직장)해외파견근무확인서.hwp
0.02MB

 

신분증, 비행기표, 여권 등 필요서류를 지참해서 건강보험공단에 방문하거나 국민 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1577-1000)에 유선 접수 후 팩스로 사본을 보내는 방식으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해외체류자 건강보험 급여정지 확인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www.nhis.or.kr)에서 민원 여기요 → 개인 민원 → 급여정지 사항을 보면 급여정지가 완료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편 인증이나 공인인증서를 통해 로그인할 수 있습니다.

 

 

 

▶ 해외체류자 건강보험 급여정지 해지하는 방법 (국민건강보험공단)

 

 

해외체류자 건강보험 Q&A

Q) 현재 업무로 인한 해외체류자입니다. 한국에서 급여를 받지만 건강보험 급여정지 가능한가요? 

A) 네, 가능합니다.

 

직장 가입자가 국외에서 업무를 종하하고 있다면 급여를 정지하고 보험료가 면제됩니다. 단, 국내에 피부양자가 거주하고 있을 경우에는 보험료의 50%가 경감됩니다.

 

 

Q) 남편이 미국에 일자리를 구해 2년 정도 거주 예정입니다. 국내에서 따로 신청하지 않고 출국했습니다. 이런 경우 자동으로 신청이 되나요? 아니면 따로 신청을 해야 하나요?

A) 신청을 해주시는 게 빠르게 처리됩니다.

 

3개월 이상 국외 체류 시 출국일 익일로부터 급여 정지가 처리되고 정지일이 속한 다음 달부터 보험료가 면제됩니다. 이 것을 처리하는데 시간이 소요되므로 가능하면 국민건강보험공단 고객센터에 신청을 해주시기 바랍니다. 출국일로부터 하루 후에 저 노하 하면 급여 정지가 가능합니다. 

 

출입국 연계정보가 확인되지 않을 경우 출입국 내역 사실증명원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 더 많은 유익한 경제정보 ▼

 

▶ 추나요법, 실비 건강보험 적용 가능해요? 네, 가능합니다.

 

추나요법, 실비 건강보험 적용 가능해요? 네, 가능합니다.

추나요법은 갑작스러운 사고나 만성통증에 주로 사용되는 치료요법입니다. 신경 근육이나 근골격계를 잡아주는 것으로 한의원, 한방병원 등에서 추나요법이 정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추

momolala.tistory.com

▶ 증여세 없이 부모-자식간 5억까지 증여하는 방법 (증여세 과세 특례제도)

 

증여세 없이 부모-자식간 5억까지 증여하는 방법 (증여세 과세 특례제도)

보통 부모가 자식에게 증여를 해줄 때 10년 동안 미성년 자녀는 2천만 원까지, 성인 자녀에게는 5천만 원까지 비과세 대상입니다. 만약 성년 자녀에게 4억 원을 증여하게 된다면 비과세 대상인 5

momolala.tistory.com

▶ 부모-자식 가족간 전세계약 시 증여세 문제, 주의사항 알아보기

 

부모-자식 가족간 전세계약 시 증여세 문제, 주의사항 알아보기

부모님 집에 자식이 전세로 살 수도 있고 자식 집에 부모님이 전세로 사는 경우도 있지요. 그런데, 가족 간의 전세계약 시 증여세를 내게 될 수도 있으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목차 가족간 전세계

momolala.tistory.com

 

 

댓글